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서두르고 있다는 미국 기업 로비의 비난을 거부

by NewsTv 2024. 1. 31.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회장(왼쪽에서 두 번째)과 제프리 존스(Jeffrey Jones) 암참재단 이사장(왼쪽)이 육성권 공정거래위원회(FTC) 사무총장이 서울 암참 본사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서울, 1월 25일. FTC 제공

 

한국 정부는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미국 기업과 협의에 나설 용의가 있다. 이번 성명은 정부가 미국 내 주요 온라인 플랫폼을 성급하게 규제하고 있다는 미국 상공회의소의 주장에 대한 대응이다. 화요일 공정거래위원회(FTC)에 따르면 미국 재계 및 미국 정부와 충분한 대화 없이 시장에 진출했다.

미 상공회의소는 25일(현지시간) FTC에 이 문제에 대한 투명성과 열린 대화를 보여줄 것을 촉구했다.

플랫폼공정경쟁법은 특정 기업을 '영향력 있는 기업'으로 지정해 독점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의 불공정 행위를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공정위는 다음 달 세부 정부안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애플, 구글, 아마존, 메타 등 미국 기업과 네이버, 카카오 등 한국 기업도 법안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2023년 12월 자료사진 찰스 프리먼 미국 상공회의소 아시아 담당 수석부회장이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본부에서 열린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
2023년 12월 자료사진 찰스 프리먼 미국 상공회의소 아시아 담당 수석부회장이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본부에서 열린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

미 상공회의소 아시아 담당 수석부회장인 찰스 프리먼(Charles Freeman)은 성명을 통해 제안된 법안의 전문을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며 한국 정부는 한국 정부와 한국 정부가 참여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

그는 “미국에서 플랫폼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시도가 실패하는 것을 포함해 여러 국가의 입법 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한 결과, 미국 상공회의소는 이러한 플랫폼 제안에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입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분명히 소비자에게 이익이 되는 경쟁을 짓밟고, 건전한 규제 모델의 기본이 되는 모범적인 규제 관행을 무시하며, 외국 기업을 임의로 표적으로 삼아 정부가 무역 약속을 위반하는 위치에 놓이게 합니다.”

이에 대해 FTC 관계자는 이번 달 두 차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회원들과 만나 플랫폼 규제 방안을 논의했다고 강조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또한 이 회장이 3월 7일 AMCHAM 회원들에게 프레젠테이션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공정위 관계자들은 지난 1월 25일 암참 본사 방문 당시 구글, 애플, 메타 대표자들을 만나지 못했다.

미국의 거대 기술업체들은 한국의 향후 경쟁 정책 규정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후발 기업들에게 의도치 않게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회의를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국 플랫폼은 상대적으로 낮은 시장 점유율로 인해 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AMCHAM은 미국 상공회의소 소속이 아니지만 두 조직은 한국에서 미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때때로 서로 협력해 왔습니다. AMCHAM 대변인은 최근 미국 상공회의소의 성명은 AMCHAM의 공식 입장과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FTC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있는 미국 기업들이 워싱턴 DC에 있는 한국 독점금지청 직원들과 접촉하면 그들과도 연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을 간소화하기 위해 우리의 주요 참여는 AMCHAM이었습니다. AMCHAM과의 논의가 미국 이해관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달 초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이 제안한 플랫폼 규제가 미국 기업을 부당하게 겨냥해 결국 중국 경쟁업체가 더 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 로버트 오브라이언은 한국이 주요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불공정 시장 행위를 막기 위해 제안한 규제가 중국에 '선물'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중국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제정된 경우 미국.

이에 따라 윤석열 정부의 온라인 플랫폼 규제 노력이 미국과의 외교 분쟁으로 비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